‘반도체 오픈이노베이션’ 구축 업무협약식에 참석한 임재욱 SK에코플랜트 경영지원센터장(왼쪽에서 여섯번째) 및 참여 기관 관계자들. 사진=SK에코플랜트
SK에코플랜트가 반도체 산업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에 나선다.
SK에코플랜트는 8일 대전 대덕구 한남대학교 56주년 기념관에서 ‘반도체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기술혁신) 프로그램’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반도체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은 SK에코플랜트가 지난 2023년 시작한 기술혁신 플랫폼 ‘에코오픈플랫폼’을 기반으로 추진하는 반도체 산업 특화 개방형 혁신 프로그램으로 반도체 산업 분야 관련 공공기관, 연구기관, 학술기관 등과의 전방위적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혁신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목표로 한다.
특히 SK에코플랜트는 올해 프로그램의 초점을 반도체 종합 서비스 분야 혁신기술에 맞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전개하는 사업의 기술 혁신을 통해 시너지를 목표로 세부적 수요기술인 △반도체 EPC 생산성 제고 △반도체 용수처리 고도화 △반도체 부산물 재활용 등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은 전체 프로그램 운영 주관을 SK에코플랜트가 맡고 기술개발 단계에서는 SK에코플랜트, 카이스트,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등 기업 및 기관이 혁신기술 발굴부터 기술 공동 개발까지 진행하게 된다.
기술개발 이후에는 사업화 단계를 진행하며 공공 및 투자기관 등이 정부자금 및 외부 투자금 유치를 도와 호서대학교, 한국과학기술지주, SK증권 등 기관은 TIPS(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Korea)와 같은 정부의 민간투자지원 프로그램 연계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SK에코플랜트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반도체 산업 특화 혁신기술을 발굴하는 것은 물론 반도체 산업 내 선순환 생태계 조성에도 힘을 보탤 계획이다.
한편 SK에코플랜트는 첨단산업 성장에 발맞춰 반도체 설비 구축, 반도체 모듈 제조·유통, 가스공급, 메모리 재활용 등 차별화된 반도체 종합서비스 역량을 확보하는데 집중하며 지난해 말 반도체 모듈 기업 에센코어(Essencore), 산업용 가스 기업 SK에어플러스를 자회사로 편입하며 반도체 종합 서비스 관련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산업단지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주도적으로 수행해 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