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스피드스케이팅의 ‘살아있는 전설’ 이승훈(36·알펜시아)이 대역전극을 펼치며 약 7년 만에 월드컵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24일(한국 시각) 폴란드 토마슈프마조비에츠키의 로도와 아레나에서 열린 2024-2025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월드컵 5차 대회 남자 매스스타트에서 이승훈은 놀라운 역전극을 선보이며 트랙 16바퀴를 돌아야 하는 400m 레이스에서 20명의 선수 중 20위로 출발해 마지막 순간 폭발적인 스퍼트로 선두권을 제치고 7분48초05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승훈은 레이스 초반부터 중반까지 19위와 18위를 오가며 체력을 비축하며 중간 중간 경기 흐름을 흔들며 다른 선수들이 속도를 올리도록 유도해 체력을 소비하게 만들면서 결승선을 4바퀴 남길 때까지도 16위에 머무르다가 13바퀴째에 9위, 14바퀴째에 8위, 15바퀴 3위까지 급속도로 치고 올라가 결국 마지막 16바퀴에서 1위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사진=유튜브 ‘스브스스포츠 SUBUSU SPORTS’
특히 마지막 바퀴에서 바깥쪽으로 빠져나온 이승훈은 순식간에 3위까지 치고 올라갔고 마지막 곡선주로에서 사사키 쇼무(일본), 리피오 벵거(스위스)를 제치며 선두로 올라선 이후 마지막 직선주로에서 남은 체력을 모두 쏟아부으며 결승선을 가장 먼저 통과했다.
무엇보다 결승선을 통과한 직후 주먹을 불끈 쥐며 승리의 기쁨을 만끽한 이승훈은 자신보다 무려 17살이나 어린 일본의 사사키와 선두 경쟁에서 당당히 우위를 차지하며 베테랑 선수의 노련미를 보여줬다.
이로서 스프린트 포인트 60점을 획득한 이승훈은 네덜란드의 바트 훌베르프(7분48초51·스프린트 포인트 40점)와 이탈리아의 안드레 지오바니니(7분48초57·스프린트 포인트 21점)를 제치고 정상에 오르며 2017년 12월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월드컵 3차 대회 이후 약 7년 만에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승훈의 쇼트트랙 선수로 시작해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대표 선발전 탈락 이후 스피드스케이팅으로 전향한 선수로 1년 만에 올림픽에 출전해 5000m 은메달과 10000m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아 남자 선수 최초의 장거리 메달리스트가 됐다. 이어 2014년 소치올림픽에서는 팀 추월 은메달과 2018년 평창올림픽에서 초대 매스스타트 챔피언의 영광을 안았다.
한편 평창올림픽 이후 대표팀 훈련 특혜 논란과 과거 후배 선수 폭행 문제로 약 3년간 대회 출전 정지 처분과 함께 힘든 시간을 보낸 이승훈은 복귀 후에도 매스스타트에서 2021-22시즌 13위, 2022-23시즌 8위, 지난 시즌 13위에 그치며 입상권과 거리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 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에서 정재원, 박상언과 함께 남자 팀 추월 은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선수 역대 동계아시안게임 최다 메달(9개) 기록을 세우며 기존 김동성이 보유했던 8개를 뛰어넘는 신기록으로 주목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