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역단위농협 선거 과정에서 ‘돈 거래’ 정황이 속속 드러나면서 부정선거 논란에 몸살을 앓고 있는 반면 농협중앙회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해 확산되는 의혹에 대책이 없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보팀장에 따르면 지난 2월 24일 대전 회덕농협 비상임이사 선거에서 금품 살포 의혹으로 대전대덕경찰서에 관련 고발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선거에서는 비상임이사 7명을 선출하는 과정에서 대의원 63명이 유권자로 참여해 직선제가 아닌 간접선거 방식으로 선거가 치러지면서 특정 후보가 대의원을 개별 접촉해 금품을 제공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에 일부 대의원은 금품을 받았다고 시인하면서도 “액수가 적어 돌려줬다”고 주장하는 등 선거 과정이 심각하게 훼손됐다는 지적과 함께 농협 선거관리위원회가 문제를 제기했으나 내부 조치가 무산되면서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는 부문에서 조합원들의 신뢰가 상당히 훼손됐을 것으로 보인다.

사진=미디어온


특히 회덕농협은 과거에도 선거 비리로 조합장이 구속되는 등 악습이 반복된 바 있어 공정성 회복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회덕농협 조합원 A씨는 “실제 조합장 선거보다 소수 대의원이 참여하는 비상임이사 선거는 금권 선거로 변질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며 “하지만 회덕농협은 조합원들의 이 같은 지적에도 불구하고 이번에도 간접선거를 추진하면서 오히려 선거 부정을 부추긴것과 다름없게 됐다”고 꼬집었다.

또한 회덕농협의 부정선거에 이어 전주지역의 전주농협에서도 ‘돈 선거’ 의혹이 불거졌다.

전주농협 역시 비상임이사 선거를 앞두고 후보자들이 유권자인 대의원들에게 돈 봉투를 건넸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는 일부 대의원이 양심선언을 하면서 금품 수수 정황이 드러났지만 선관위는 선거가 끝난 뒤 조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결국 전주농협의 부정선거 의혹에 결찰이 수사를 착수 했다.

오는 28일 치러지는 전북 전주농협 비상임이사 선거는 12개 지역구에서 총 28명의 후보가 경쟁을 벌이게 되며 선거권을 가진 대의원은 110여명으로 이들 중 한 명이 ‘돈을 받았다’고 양심선언을 하면서 부정 선거 의혹이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사진=미디어온


신고서에 따르면 A 후보와 B 후보는 각각 50만원과 30만원이 든 돈 봉투를 대의원에게 건넸고 이 사실을 알게 된 C 후보가 ‘그 돈 봉투를 내가 가져 가겠다’며 100만 원을 건넸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돈봉투 하나에 3명의 후보가 연루되며 돈을 받은 유권자가 가장 돈을 많이 준 후보자를 찍는 일명 ‘경매선거’가 벌어질 웃지 못할 상황에 놓이게 됐다.

이에 A 후보는 “조작된 주장일 뿐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주장했고 C 후보 역시 “나는 농사꾼일 뿐 그런 행동을 할 사람이 아니다”라며 부정했다.

이처럼 농협 비상임이사 선거가 돈으로 얼룩지는 부정사태가 잇따르는 데에는 농협 비상임이사의 경우 단순한 명예직이 아니라 △간부 선임과 해임 △하나로마트 입점 업체 선정 △직원 선발 등 주요한 의사결정에 깊숙이 개입할 수 있는 ‘황금알을 낳는 자리’로 꼽히고 있다.

진석 사무금융서비스노조 전주농협 분회장은 선관위의 선거 이후 조사 착수 방침에 대해 “선거가 끝나고 나서야 조사하겠다는 것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와 다름없다”며 “지금 당장 모든 후보를 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외에도 전주원예농협 조합장 선거에서도 금품 선거 의혹이 제기돼 현재 재판을 받고 있는 등 단위농협들의 부정성거 근절대책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지만 농협중앙회 측은 제보팀장의 이 같은 요청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는 등 중앙회가 오히려 부정선거 확산에 빔미를 제공하고 있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