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역의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과정에서 특정 후보자가 불법 대출을 남발하고 부실채권을 방치한 정황이 드러나 자산 건전성이 훼손되고 지역민들로부터 신뢰를 잃는 등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최근 제보팀장에 따르면 충북지역의 영동새마을금고에서 이사장 선거를 앞두고 특정 후보자가 막대한 불법 대출을 실행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제보팀장은 새마을금고 관계자를 인용해 해당 후보자는 특정 이해관계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며 대출 심사를 허술하게 진행하는 방식으로 대출을 감행해 상당수 부실 대출로 이어지면서 금고의 손실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새마을금고 자산 건전성이 심각하게 훼손됐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금고 측은 해당 대출에 대해 단순히 행정적 실수로 치부하는 등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회원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불법 대출이 단순한 행정 실수가 아니라, 계획적으로 이루어진 ‘선거용 금고 자금 유용’이라는 점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내부 관계자는 “대출 심사를 담당하는 직원들조차 문제를 제기했지만, 후보자가 강압적으로 밀어붙였다”고 증언했다.
충북 영동새마을금고 관계자는 입장문을 통해 “이사장 선거 과정에서 문제가 제기된 불법 대출 건에 대해 현재 채무자들을 사기죄로 고발, 검찰에 송치된 상태”라며 “아울러 현재까지 해당 건에 대해 대출 담당 직원들의 불법행위 관여 정황은 드러난 바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일부 회원들은 “내가 맡긴 돈이 안전한지조차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사장 선거를 앞두고 자기 입맛에 맞게 대출을 남발한 것은 명백한 직권 남용”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이 같이 부실 대출에 대한 사안이 명백히 드러났음에도 명확한 조치를 내놓지 않고 있는 금융감독원을 비롯환 금융당국의 미온적인 태도 역시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새마을금고는 지역 기반 금융기관으로 철저한 감독이 필요한 곳”이라며 “심심치 않게 드러나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불법 대출은 전체 새마을금고를 포함한 지역금융의 전체 시스템에 대한 경고로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영동새마을금고의 부실채권 규모는 지난 2023년 말 기준 48억원에 달하며 이는 전체 대출금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 5일 처음을 치러진 제1회 새마을금고 직선제 이사장 선거‘에서는 영동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에 기호 1번 이창현(57·양산면 가곡리) 후보가 2359표 중 과반수에 달하는 1198표(50.7%)를 얻어 당선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