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 모빌리티(이하 KGM)가 속도감 있는 추진력을 통해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력 재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KGM은 지난 26일 자율주행기술 분야 전문기업들과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고도화 기술 개발 MOU를 체결하고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왼쪽부터) 정지성 에스오에스랩(SOS Lab) 대표이사, 황준연 HL클레무브(HL Klemove) AD System R&D 센터장, 이용헌 KGM 미래모빌리티센터장, 성득영 아이나비시스템즈 대표이사, 박중희 라이드플럭스(RideFlux) 대표이사. 사진=KG 모빌리티
KGM은 이번 MOU 체결을 통해 2026년 양산 차량에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인 “DEEP CONTROL”의 자동 차선 변경과 고속도로 합류 및 이탈 제어 보조 등의 기술 고도화 기술을 탑재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DEEP CONTROL’은 차량의 가속과 감속 그리고 조향장치 등에 대한 동시 제어를 지원해 운전자에게 차별화된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KGM은 ADAS 고도화 기술을 통해 운전자를 보다 적극적으로 보조함으로써 운전자의 주행 경험과 편의성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지성 에스오에스랩(SOS Lab) 대표이사, 황준연 HL클레무브(HL Klemove) AD System R&D 센터장, 이용헌 KGM 미래모빌리티센터장, 성득영 아이나비시스템즈 대표이사, 박중희 라이드플럭스(RideFlux) 대표이사. 사진=KG 모빌리티
특히 이번 기술 협력을 통해 HL클레무브의 최첨단 ADAS 시스템 통합 개발 노하우와 아이나비시스템즈의 ‘아이나비 레벨2 플러스 솔루션’ 기술과 라이드플럭스의 ADAS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 에스오에스랩의 첨단 라이다(LiDAR) 기술 등을 바탕으로 보다 진보한 ADAS 시스템 개발과 함께 자율주행기술 고도화를 도모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차량의 상품성 핵심 요소인 ADAS는 소비자들의 신차 선택 시 중요 고려 항목으로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 이에 대한 안전성과 중요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ADAS 기능에 있어 다양한 기술 구현의 자유도 부여와 함께 안전한 시스템 개발에 대한 요구와 법규 또한 강화되고 있다.
HL클레무브는 전·후측방 레이더와 카메라 등 핵심 부품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과 ADAS 분야의 솔루션 전문기업이며 아이나비시스템즈는 자율주행 통합 맵과 ADASIS 프로토콜 기반 통합맵 전송 기술인 ‘아이나비 레벨2 플러스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자율주행에 필요한 Software 풀스택(Full-Stack) 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라이드플럭스는 ADAS Software 개발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에스오에스랩은 라이다(LiDAR) 전문기업으로 차량용 고정형 라이다(Solid State Lidar) 제품화를 통해 기존 회전형 라이다 대비 효율성과 내구도, 가격 등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다.
KGM 관계자는 “이번 기술 협력을 통한 DEEP CONTROL 시스템 고도화로 운전자의 주행 경험과 편의성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특히 ADAS 고도화 기술 등 다양한 자율주행 관련 선행 연구개발 및 기술 내재화는 물론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 체계 구축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KGM 평택 본사에서 열린 MOU 체결식에는 이용헌 KGM 미래모빌리티센터장과 황준연 HL클레무브(HL Klemove) AD System R&D 센터장, 성득영 아이나비시스템즈 대표이사, 박중희 라이드플럭스(RideFlux) 대표이사, 정지성 에스오에스랩(SOS Lab) 대표이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