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올해 초부터 위생논란부터 제품 품질 등 끊이지 않는 논란의 중심에 선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에 대해 이번에는 방송사에 대한 갑질까지 불거지며 사면초가에 놓였다.

MBC 교양 PD 출신 김재환 감독은 지난 21일 유튜브 ‘45플러스 채널’에 “백종원은 회생할 수 있을까? 백종원과 미디어가 서로를 이용하는 법”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공개하며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의 갑질 의혹을 제기했다.

해당 영상에서 김 감독은 백종원에게 대중적인 인지도를 쌓아준 MBC 예능 프로그램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하 ‘마리텔’)을 언급하며 “2015년 ‘방송주도’ 성장전략에 날개를 달아줄 프로그램을 만났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 방송 이후 다음 해 매출이 510억원 폭증했다”며 “가맹점들이 계속 망해가는데도 백종원이 방송에 자주 나오면서 신규 가맹점들을 더 많이 받으면서 더본코리아는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김 감독은 백종원이 ‘마리텔’ 이후 방송사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사진=연합뉴스


김 감독은 “백종원 대표는 방송을 출연하게 되면 ‘프로그램에 내가 지명하는 작가팀을 넣어라’ 또는 ‘내가 지명하는 촬영팀을 넣어라’ 등 무리한 요구를 해왔다”며 “촬영 현장의 분위기는 PD와 촬영팀의 호흡이 중요하기 때문에 백종원 대표가 데려온 촬영팀이 합류할 경우 현장에서 백 대표의 눈치를 살피며 방송을 해야 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어 담당 PD가 출연자에 대해 냉정하고 객관적인 이야기를 할 수가 없어 제대로된 방송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또한 김 감독은 “심지어 백종원 대표가 마음에 들지 않아 하는 사람의 경우 방송에서 하차하는 일도 발생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있었다”며 “대부분의 톱스타들은 스태프 구성이나 다른 출연자 문제를 언급하는 걸 굉장히 조심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백종원 대표만 완전히 다른 유형이었고 그 결과 방송가에서 백종원 대표에 대한 불만은 점점 쌓여 갔지만 방송을 해야하기 때문에 그냥 묻어 둔 것이 지금의 화를 키웠다”고 주장했다.

김 감독은 “제작진의 불만에도 백종원이 승승장구한 것은 ‘인맥’ 때문이었다”고 전했다.

김 감독은 “자신이 방송사 사장과 ‘형, 동생’하는 영향력 있는 사람이라는 걸 제작진이 알면 모든 게 (백종원이) 원하는 대로 풀렸다”며 “방송사 사장 또한 슈퍼스타 백종원의 인맥을 자랑하며 ‘앞으로 잘 모시겠다’고 공언하면서도 담당 PD는 무리한 요구에 미친다”고 말했다.

김 감독은 영상에서 이 같은 사례들을 언급하며 이런 백종원 대표의 행동 하나 하나가 결국 방송에 대한 갑질이라고 주장했다.

사진=연합뉴스


김 감독은 최근 더본코리아의 입장문도 지적했다. 김 감독은 “(더본코리아의) 입장문에 오너 백종원에 대한 내용이 전혀 없고 사람들이 사과의 진정성을 받아들일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라며 “일반인은 잘 들어가지도 않는 회사 홈페이지에 ‘나 빼고 다 바꾸겠다’는 입장문을 올려서 사태가 잠잠해지길 기다리는 건 너무 비겁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백 대표가 친 사고의 뒷감당은 점주들이 하면서 고통받고 있다”며 “백 대표는 더 이상 숨어 있지 말고 카메라 앞에서 쿨하고 진실하게 사과하고 지금의 상황을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백 대표는 상장사 대표며 회사의 덩치도, 영향력도 커진 만큼 방송 주도 성장 전략을 버리고 앞으로 방송인 백종원이 아니라 사업가 백종원으로 냉정하게 평가받기를 바란다”고 조언했다.

한편 백종원 대표는 최근 ‘빽햄 선물세트’ 고가 논란을 비롯해 △농약통 주스 논란 △액화석유가스 안전관리 및 사업법 위반 △건축법 위반 △한신포차 낙지볶음 원산지 표기법 위반 △축제 장비 관리 미흡에 따른 식품위생법위반 논란 △플라스틱 용기 전자레인지 논란 △새마을 식당 직원 ‘블랙리스트’ 의혹 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