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미디어온


출시 이전부터 MZ 세대들 사이에서 반향을 일으킨 쉐보레 뉴 트랙스는 다이나믹한 주행과 가격을 모두 만족시킨 도심형 준준형 SUV다.

사진=미디어온


시승에 앞서 만난 트랙스는 디자인 부분에서 쉐보레의 DNA를 그대로 계승하면서 오프로드보다 다이나믹한 도심 및 고속 주행에 역점을 둔 낮고 날렵한 디자인을 택한 것이 느껴졌다.

사진=미디어온


조금 거리를 두고 보면 전면부의 경우 상당히 공격적인 디자인을 택한 쉐보레의 스포츠 머슬카 카마로의 이면도 엿볼 수 있다.

사진=미디어온


특히 전장 4540㎜, 전폭 1825㎜, 전고 1560㎜, 축거 2700㎜의 제원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앞좌석은 물론 성인들이 타고도 넉넉한 레그룸과 뒷좌석 시트를 접을 경우 매우 넓은 적재공간까지 갖춘 매우 실용적인 차량이었다.

사진=미디어온


무엇보다 미국 차량들의 특징이 넓은 실내 공간과 넉넉한 수납공간 등 실용성에 핵심을 둔 만큼 실용면에서는 둘째가라면 서러울 만큼 탄탄한 구조를 갖고 있다.

여기에 주행하면서 느낀부분 중 하나가 기존에 갖고 있던 미국 차량에 대한 선입견이 상당부분 해소 됐다. 아마도 브랜드는 미국이지만 생산은 국내에서 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사진=미디어온


쉐보레는 당초 출시 예고에서 쿠페형 SUV를 표방하지는 않았지만 실제 전체적인 루프라인을 살펴보면 상당부분 쿠페형 SUV와도 닮아 있다. 그래서 일까 드라이빙을 하는 동안 외부의 풍절음이 덜 느껴졌고 고속주행에도 매우 안정적인 주행감각을 유지 시켜 줬다.

또한 쉐보레 뉴 트랙스의 배기량은 1.2리터 3기통 가솔린 엔진으로 풍부한 토크로 인해 순간 가속력이나 고속주행 및 저속주행에서 다이나믹한 주행을 체감할 수 있도록 했다.

사진=미디어온


승차감에서는 개인 취향별 차이점이 있을 수 있지만 약간 스포티한 느낌을 주는 하드 타입으로 전형적인 미국이나 유럽지역에서 선호하는 방식이 적용된 반면 시트는 소프트 타입으로 푹신하고 안락해 오랜시간 주행에도 피곤함이 덜했다.

또 한가지 앞에서 말한 대로 일반적인 SUV 대비 낮은 전고를 택한 트랙스는 고속 주행시 급커브나 코너링에서 보다 안정감을 보이는 장점을 발휘했다. 이는 아마도 예전의 말리브에서 느낀 안정적인 코너링과도 흡사 했다.

사진=미디어온


특히 가장 인기가 좋은 ‘트랙스 RS’의 경우에도 2000만원 중후반대를 형성하는 가격에 비해 ADSL까지 갖춰 장거리 주행에 매우 큰 도움을 준다. 차간거리 자동조정 및 차선유지, 속도 유지 등 고가의 차량들보다 뛰어나진 않지만 그래도 가격대비 매우 준수한 사양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주행편의 지원에 만전을 기했다.

트랙스 시승에서 내린 결론은 평균 12㎞/ℓ의 주행연비나 2000만원 중반대 가격, 가장 선호하는 소비자 옵션의 기본 탑재, 적당한 제원 등 2030세대와 첫차를 생각하는 소비자, 신혼부부, 사계절 다양한 환경에 안전을 염려하는 주부들에게 가장 추천하고 싶은 차량이다.